자료 정리

EV/EBITDA

Mr. Doo 2024. 6. 3. 16:25

EV / EBITDA (기업가치 / 세전영업이익비율), 주식 투자에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재무 지표

 

EV (Enterprise Value)?

 

EV는 기업의 총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

 

• 시가총액(Market Capitalization) : 현재 주가에 발행 주식 수를 곱한 값

• 순부채(Net Debt) : 기업의 총 부채에서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을 뺀 값

 

EV = 시가총액 + (총 부채 - 현금 및 현금성 자산)

 

EBITDA = 영업이익 + 감가상각비

 

 

 

 

EV / EBITDA 비율

 

EV / EBITDA는 기업의 전체 가치(EV)를 EBITDA로 나눈 값으로, 기업의 가치가 영업성과 대비 어느 정도인지 표시

 

 

 

EV / EBITDA 비율 의미와 활용

• 기업 가치 평가 : 주식의 시장가치와 기업의 실제 영업 성과를 비교할 수 있게 해줌, 낮을 수록 저평가 클수록 고평가

 

 

• 비교 분석 : 동일 산업 내 기업들의 비율을 비교함으로 가치 평가가 가능, 동일 산업내에 낮은 비율은 매력적인 투자처 

 

 

• 투자 의사 결정 : 비율을 통해 기업의 내재 가치를 평가하고, 주식의 매수 또는 매도 결정에 도움을 줌

 

 

 

EV /EBITDA 비율 활용의 장단점

장점 

 

비교 용이 : 동일 산업 내 여러 기업을 비교할 때 유용함

 

• 영업 성과 반영 : 기업의 실제 영업 성과를 잘 반영하여 본질적인 가치를 평가 할 수 있음

 

현금흐름 중시 : EBITDA는 현금흐름을 중시하므로, 기업의 실질적인 수익 창출 능력을 평가할 수 있음

 

 

단점

 

  비영업적 요소 제외 : 이자, 세금, 감가상각비 등을 제외하므로, 전체 재무 상황을 완벽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음

 

산업 특성 반영 부족 : 산업별로 적정한 EV / EBITDA 비율이 다를 수 있어, 단순 비교는 어려울 수 있음

 

  비용 구조 무시 : 감가상각비와 같은 중요한 비용을 제외하여 비용 구조를 완전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음

 

 

다른 지표들과 같이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자해야함

 

'자료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PER  (0) 2024.05.31
PBR  (0) 2024.05.31
ROE  (0) 2024.05.31